일전에 친구가 우리가 언제까지(어느 나이까지) 이런 가상세계에서 글을 쓰겠냐고 물은 적이 있다. 여지껏 블로그에 가끔 글을 쓸 때마다 항상 기억하던 말이다. 기억들은 아무것도 아닌 것이 되어버리기 마련이다.
예전 블로그가 망가졌을 때, 영문만 조금 보이는 글자들의 쓰레기더미를 보며 잠시 미래를 여행한 기분이었다. 그 속에서 무슨 쓸모를 볼 수 있을까 궁금했다. 조금 머리 아프면 복구할 일을, 그래서 가만히 놔두었다.
오늘, 어떤 계기에 잊혀진 공간들을 한 번 둘러봤다. 잊겠다고, 아무것도 아니라고 한다고 아무것도 아닌게 아니다. 잊혀졌던 것들은 가끔씩 떠오르기 마련이다. 그러나 그 떠오른 것을 바라보는 이는 같지 않다.
행여나 잊을까, 예전에 읽은 책에서 한 구절을 발췌해놓는다. 10대를 훨씬 지났는데도 기억해둘만하다.
This difficulty is compounded by the often ambivalent desire we have for concealment and exposure. Some teenagers have contradictory ambitions for their posts. One teenager interviewed for a story in the New York Times Magazine explained that “he wanted his posts to be read, and feared that people would read them, and hoped that people would read them, and didn’t care if people read them.” The Future of Reputation, p.198